|
|
|
1. 홍조/혈관 |
|
|
우리 몸에는 무수히 많은 모세혈관이 흐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세혈관은 피부 표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어떤 원인에 의해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표면에 가까운 조직 속에 혈액이 과도하게 쌓여서 빨갛게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현상을 붉음증(모세혈관확장증)이라고 하며 2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피부 질병에 의한 것입니다. 질병의 증상이거나, 복용하고 있는 약의 부작용 등으로 붉은기가 나오기도 합니다. 나머지 하나는, 피부 질병이 아니라, 온도차에 의해 붉은기가 나오거나 다른 사람 앞에서 서면 붉어지는 것입니다. |
|
|
|
안면홍조의 원인 |
|
|
|
 |
피부의두께 |
|
|
|
|
피부의 두 번째층에 해당되는 진피에는 모세혈관이 밀집되어 있으며, 특히 얼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얼굴이 잘 붉어지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거기다가, 피부 최상부인 표피가 얇으면 모세혈관이 비춰보이기 때문에 붉음증이 잘 생기는 것입니다. |
|
|
|
 |
자외선 |
|
|
|
|
피부의 모세혈관의 역할 중 하나로, 외기의 온도에 맞추어서 혈관을 확장, 수축시켜 일정한 피부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특히, 추운 지방에서는 온도차가 심한 실내외의 출입을 반복하면 모세혈관의 수축력이 떨어져, 피부표면의 온도를 낮추지 않도록 확장되어 있던 모세혈관이 확장된 그대로 얼굴이 빨갛게 보이는 상태가 계속되는 것입니다. |
|
|
|
 |
여드름흉터 등의 염증 |
|
|
|
|
염증을 동반하는 여드름에 의해, 염증부분 전체의 피부가 빨갛게 되고, 또 여드름의 재발을 반복하면 염증이 진정되지 않아 붉음증을 동반한 상태가 계속되어 버립니다. 그리고, 피질에 따라서는 장기적으로 붉음증이 계속되기도 합니다. |
|
|
|
 |
알콜이나 향신료 등의 과다섭취 |
|
|
|
|
말초혈관을 확장하는 작용을 가지는 알콜이나 자극이 강한 향신료 등을 과다 섭취하면 혈류가 잘 막히게 되어 붉음증이 눈에 띄는 원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
2. 안면홍조, 모세혈관확장증 치료법 |
|
|
|
|